전자제품 자동화 연구소
디지털 자동화 연구소는 스마트한 일상을 위한 전자제품 자동화 전문 블로그입니다.
KoreanEnglishFrenchGermanJapaneseSpanishChinese (Simplified)

디스코드 자동 알림, 노션·깃허브·캘린더까지 한 번에 연동하는 방법!

디스코드에 노션, 깃허브, 구글 캘린더 알림을 자동 전송하는 법! 웹훅과 Zapier를 활용해 팀워크를 높이는 디스코드 자동화 가이드.

디스코드는 단순한 채팅 앱을 넘어서 다양한 자동화 기능을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이에요. 특히 자동 알림 기능은 작업 효율을 높여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어요.

디스코드 자동 알림, 노션·깃허브·캘린더까지 한 번에 연동하는 방법!


예를 들어, 노션에서 새로운 글이 올라올 때, 깃허브에서 푸시가 있을 때, 또는 구글 캘린더 일정이 다가올 때마다 디스코드에 자동으로 알림을 보낼 수 있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디스코드 자동 알림을 연동하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들을 정리해봤어요. 내가 생각했을 때, 이 기능은 팀워크와 업무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는 필수 도구예요.

아래에서 하나씩 차근차근 따라하면서 자신만의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어보세요! 🚀

🔗 웹훅(Webhook)이란?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URL에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해 어떤 일이 발생하면 미리 지정한 주소로 메시지를 '퉁!' 보내주는 자동 알림 시스템이죠.

디스코드는 자체적으로 웹훅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외부 앱과 연결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노션에서 새로운 페이지가 만들어지면 해당 내용을 디스코드 채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답니다.

웹훅은 JSON 형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커스터마이징도 자유로워요. 알림 내용, 형식, 이모티콘 등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어요.

웹훅은 개발 지식이 부족해도 쉽게 설정할 수 있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유용해요. 특히 여러 앱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자동화에 매우 적합하죠. 💡

📊 웹훅 활용 사례 비교

활용 분야 예시
개발 깃허브 커밋 알림
마케팅 신규 고객 유입 실시간 알림
콘텐츠 블로그 포스트 자동 공유

이처럼 웹훅을 활용하면 다양한 앱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하나의 채널로 모아볼 수 있어요. 팀워크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답니다! 🎯

⚡ 아직도 안 써봤다면 손해예요!
👇 웹훅 생성하고 바로 활용해보세요

⚙️ 디스코드 웹훅 만들기

디스코드에서 자동 알림을 받으려면 먼저 웹훅을 만들어야 해요. 이 작업은 아주 간단하고 누구나 5분이면 완료할 수 있어요. 먼저 웹훅은 채널 단위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어떤 채널에 알림을 보낼지 정하는 게 중요해요.

1. 디스코드 서버 설정으로 들어가세요.
2. '텍스트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고, 톱니바퀴 아이콘(설정)을 클릭해요.
3. 왼쪽 메뉴 중 ‘통합’을 클릭하고, ‘웹훅’ 섹션으로 가서 '웹훅 만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4.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웹훅 프로필 이미지도 업로드할 수 있어요.
5. 가장 중요한 부분! '웹훅 URL'을 복사해 두세요. 이 URL로 데이터를 보내면 디스코드에 메시지가 전달돼요.

만든 웹훅은 나중에 수정하거나 삭제도 가능하니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보안을 위해 웹훅 URL은 외부에 공유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 웹훅 생성 시 체크리스트

항목 확인 여부
채널 선택 완료
웹훅 이름 지정
웹훅 URL 복사

이제 복사한 웹훅 URL만 있으면 어디서든 디스코드에 알림을 보낼 수 있어요! 정말 간단하죠? 😄

🚀 웹훅 만들었으면 이제 진짜 자동화를 해볼 차례!
👇 노션과 연동하는 방법 확인해보세요

📝 노션과 디스코드 연동

노션은 팀 협업 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새로운 페이지 작성이나 태스크 완료 시 디스코드로 알림을 보내면 아주 편리해요. 이를 위해 외부 자동화 툴을 활용하게 되는데요, 대표적으로 ‘Zapier’나 ‘Make’(구 Integromat)가 있어요.

Zapier를 기준으로 설명해보면, Notion이 트리거 역할을 하고, Discord 웹훅이 액션 역할을 하게 돼요. 즉, Notion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면 Zapier가 이를 감지해 디스코드로 전달하는 구조예요.

Zapier 사이트에 접속 후 ‘Make a Zap’을 선택하고, 트리거 앱으로 ‘Notion’을 추가한 뒤, 액션 앱으로 ‘Webhook’을 추가하세요. 이때 복사해두었던 디스코드 웹훅 URL을 입력하면 자동 알림 세팅 끝이에요.

Notion API 키 발급과 Zapier 계정 연동은 1회만 해두면 이후엔 반복 작업 없이 자동화가 실행돼요. 진짜 꿀 기능이에요. 🍯

📌 Notion → Discord 연동 흐름

단계 설명
1단계 Notion에서 새로운 항목 생성
2단계 Zapier가 변화 감지
3단계 Webhook을 통해 디스코드 채널에 알림 전송

자동화 흐름을 잘 이해하면, 복잡한 업무를 아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어요! 🎯

💼 업무 자동화, 진짜 이젠 필수에요!
👇 지금 바로 Zapier 연결해보기

⚡ Zapier를 활용한 자동화

Zapier는 두 개 이상의 앱을 연결해 자동화 ‘레시피’를 만드는 도구예요. Notion 뿐만 아니라 Google Sheets, Twitter, Instagram, Shopify 등 수백 개의 앱을 지원해요.

예를 들어,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새로운 행이 추가되면, 해당 내용을 디스코드로 보내는 것도 가능해요. 템플릿을 활용하면 1분 안에 자동화 플로우를 만들 수 있답니다.

Zapier의 무료 요금제로도 충분히 많은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어요. 다만 너무 자주 실행되는 자동화는 유료 요금제가 필요할 수 있어요. 월간 트리거 횟수를 잘 체크해보세요.

Zapier의 장점은 코딩을 전혀 몰라도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로 클릭 몇 번만에 자동화를 설정할 수 있다는 거예요. 정말 간편하고 강력한 툴이에요. 💪

⚙️ Zapier와 연동 가능한 앱들

설명
Google Sheets 데이터 업데이트 시 알림 전송
Trello 카드 이동 시 자동 메시지
GitHub PR 또는 커밋 자동 공유

이처럼 Zapier를 사용하면 작업을 덜고 효율은 더할 수 있어요. 업무 자동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에요! 😎

🤖 클릭 몇 번으로 자동화 끝!
👇 GitHub 연동도 바로 이어집니다

👨‍💻 GitHub과 디스코드 연동

GitHub은 개발자들이 협업을 하는 공간이에요. 이곳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들, 예를 들면 이슈 생성, 커밋, Pull Request 등을 디스코드 채널로 자동 전송할 수 있어요.

GitHub은 기본적으로 웹훅 기능을 제공하므로, 디스코드 웹훅 URL만 있으면 바로 연결이 가능해요. 저장소 설정 → 웹훅(Webhooks) → ‘Add Webhook’ 메뉴를 클릭하고, 디스코드 웹훅 URL을 붙여넣기만 하면 돼요.

Content type은 `application/json`으로 설정하고, 이벤트는 ‘Push’, ‘Pull request’, ‘Issues’ 등을 선택할 수 있어요. 알림을 받고 싶은 이벤트만 선택하면 불필요한 메시지를 줄일 수 있어요.

한 번 설정해두면 개발팀의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매끄러워져요. 알림 때문에 GitHub를 따로 들어가지 않아도 되니까요! ⚙️

🔧 GitHub 연동 이벤트 예시

이벤트 설명
Push 코드 변경이 있을 때 자동 알림
Issues 이슈 생성 및 댓글 알림
Pull Request PR 오픈/리뷰/병합 시 알림

이렇게 연동해두면, 개발 중 실시간 협업이 가능해지고 이슈도 빠르게 공유할 수 있어요. 🌐

📨 실전 예제와 활용팁

지금까지 배운 걸 활용해서 실제 알림 예시를 만들어볼게요. 이건 정말 많이 쓰이는 조합이에요.

예시 1: 팀 블로그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디스코드에 알림 전송
RSS → Zapier → Discord 웹훅

예시 2: 구글 폼 제출 시 디스코드로 바로 알림
Google Form → Google Sheets → Zapier → Discord

예시 3: 매일 오전 9시에 일정 요약 자동 전송
→ Zapier Scheduler → Google Calendar → Discord

📋 알림 내용 템플릿 예시

상황 디스코드 알림
새 글 등록 🆕 새로운 포스트가 올라왔어요! 제목: [제목]
이슈 생성 🐛 새로운 이슈 발생: [이슈 제목]

알림을 꾸밀 때는 이모지나 멘션 기능(@everyone)을 적절히 사용하면 더욱 눈에 띄어요! ✨

❓ FAQ

Q1. 디스코드 웹훅 URL이 노출되면 어떻게 되나요?

A1. 누구나 해당 URL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니 반드시 새로 만들고 기존 웹훅은 삭제하세요.

 

Q2. 무료 Zapier로도 충분한가요?

A2. 일상적인 알림은 충분하지만, 많은 트리거와 고빈도 작업엔 유료 플랜이 좋아요.

 

Q3. 메시지 꾸미기는 어떻게 하나요?

A3. Discord는 마크다운(Markdown)을 지원해서 굵게, _기울임_, `코드` 등 다양한 포맷이 가능해요.

 

Q4. 팀원 전체에게 알림 보낼 수 있나요?

A4. 웹훅 메시지에 `@everyone` 또는 특정 역할을 멘션하면 가능해요.

 

Q5. Zapier 외 다른 서비스는 없나요?

A5. Make(구 Integromat), IFTTT도 대체 가능하고 더 강력한 플로우도 만들 수 있어요.

 

Q6. 디스코드 봇과 웹훅 차이는?

A6. 봇은 사용자처럼 동작하고 복잡한 로직 가능, 웹훅은 단순 자동 메시지 전송용이에요.

 

Q7. 웹훅 알림 지연이 있나요?

A7. 보통 1~5초 이내로 거의 실시간이지만, 연동 서비스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Q8. 지금 바로 써볼만한 예제는?

A8. RSS 연동으로 블로그 새 글 알림, 구글 시트 변경 알림, 매일 아침 일정 요약 전송 추천해요!

Q9. 디스코드 웹훅으로 이미지도 전송할 수 있나요?

A9. 네, 메시지에 이미지 URL을 포함하면 자동으로 디스코드에 표시돼요. 첨부 파일도 가능해요.

 

Q10. 웹훅으로 여러 채널에 동시에 보낼 수 있나요?

A10. 기본 웹훅은 하나의 채널에만 보내지만, 여러 웹훅 URL을 각각 설정하면 동시에 여러 채널로도 가능해요.

📌 혹시 모르고 지나친 '숨은 알림' 있으신가요?

디스코드 연동을 잘하면 일정, 이슈, 알림 모두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어요!
무료 기능부터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 디스코드 도움말 바로가기

댓글 쓰기